스프링부트는 1년간 회사에서 일을 하며 사용했던 경험이 있다.
그만두고 혼자서 프로젝트를 따보려했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회사에서 일할 당시 거의 세팅되어있는 환경에서 페이지 처리만 했었기 때문에
혼자 프로젝트를 시작해보려했으나 왜 이런 기능을 써야하는지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구글링에 의존(?)하여 어거지로 프로젝트를 따려고 하는 나의 모습에 현타가 왔다..
(심지어 꼬여서 제대로 완성도 하지 못했다. 틈날 때마다 해결 중이다..)
그러던 중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강의가 매우 평이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로드맵도 정리가 잘 되어 있었고 이 강의를 통해서 내가 그동안 가지고 있던 많은 궁금증들이 해소될 것 같아
듣기로 결심하였다.
입문 강의는 무료인데 첫 강의 몇개를 들어보고 알게 된 것은
1. eclipse보다 intellij를 현업에서 더 많이 쓴다.
2. 빌드 툴은 거의gradle로 넘어가는 추세이다.
3. thymeleaf를 많이 사용한다. - 회사에서는 jsp를 사용했다.
이제까지 회사에서 썼던 방식은 레거시 방식에 가까웠다는 것을 알았다.
강의를 통해서 좀 더 현재의 트렌드에 맞는 개발방법을 배울 수 있지 않을까 한다.
그동안 사용했던 스프링을 다시 기초부터 공부하며 제대로 이해해보고 싶다.
앞으로 강의를 학습하며 내용들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spring 정복하기 start !!
728x90
'컴퓨터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Spring Boot(intellij) - 템플릿 엔진과 API (0) | 2023.05.24 |
---|---|
[TIL] Spring Boot(intellij) - 프로젝트 생성 (0) | 2023.05.23 |
STS (Spring Boot) 게시판 CRUD_3. Bootstrap 적용과 SiteMesh 설정 (0) | 2021.08.19 |
STS (Spring Boot) 게시판 CRUD_2. MVC 패턴의 이해와 MyBatis를 이용한 DB 연동 (0) | 2021.08.17 |
STS (Spring Boot) 게시판 CRUD_1. 프로젝트 생성과 소스 트리 연동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