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3) 썸네일형 리스트형 [TIL] Spring Boot(intellij) - 예제 만들기 (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 정리 입문 강의를 듣고 정리하는 터라 프로젝트 생성부터 기본 세팅은 생략하고 정리하려 한다. 비즈니스 요구사항 설계 회원 도메인 설계 및 개발 회원 도메인 실행 및 테스트 주문과 할인 도메인 설계 및 개발 주문과 할인 도메인 실행 및 테스트 이렇게 다섯 단계의 프로세스로 진행한다. 우선 사전에 주의할 점은 예제 개발은 스프링의 도움 없이 순수 자바로만 개발하며 아직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메모리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품 등록의 경우 편의를 위해 임의로 등록하는 것으로 한다. 1. 비즈니스 요구사항 설계 회원 api : 회원 가입, 회원 조회 회원은 일반, vip 두 가지 타입 주문과 할인 api : 회원 상품 주문, 할인 정.. [TIL] Spring Boot(intellij) - 템플릿 엔진과 API *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입문 강의 정리 스프링의 가장 기초인 정적 페이지, 템플릿엔진을 이용한 동적 페이지 그리고 MVC 패턴과 API를 공부하였다. ▶ 정적 페이지 - resources/static 하위에 html 파일을 생성 -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관련 컨트롤러가 없으면 resources: static하위의 html 파일을 찾아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 MVC 패턴과 템플릿 엔진 MVC 패턴? -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다. - 프로젝트 구성요소를 세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패턴이다. - Model :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 View :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 Controller : Model과 View를 연결하는 역할, 이벤트 처리 -.. [TIL] Spring Boot(intellij) - 프로젝트 생성 우선 intellij를 사용할 것이므로 설치하고 프로젝트 환경설정을 하였다. ▶ spring 프로젝트 생성 https://start.spring.io 에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myStudy-spring으로 프로젝트 명을 정하고 build tool은 gradle로 하였다. 의존성도 추가할 수 있는데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것이므로 spring web과 html 화면 템플릿을 위한 thymeleaf를 추가하였다. 확실히 sts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보다 훨씬 간단한 방식으로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을 할 수 있었다. ▶ source tree - 깃 연동 다음과 같이 git에 repositoy를 생성하고 sourcetree에 clone 하여 깃에 연동하였다. ▶ welcome page 생성 jav.. 이전 1 다음